[GA4] 3강. 구글 애널리틱스4 설치하자 (with GTM)

2024. 2. 4. 20:13GA4

1.1 구글 태그 관리자 (GTM) 접속

(1) 구글 계정 로그인 후 구글 태그 관리자 (https://tagmanager.google.com)에 접속한다.

(2) 구글 태그 관리자에 접속하여 [계정 만들기] 클릭

(3) 새 계정 추가 화면에서 [계정 이름], [국가], [컨테이너 이름], [타겟 플랫폼]을 입력한다.

(4) [만들기] 클릭

 

* 컨테이너 뜻

= 컨테이너 (Container)란? 구글태그관리자 (GTM)에서 태그, 트리거, 변수 등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컨테이너'라 말한다. 하나의 계정에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어서, 사용자 별 또는 환경별 (웹, 앱)으로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하나의 계정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5) 서비스 이용약관에 동의

 

1.2 설치 스크립트 확인

 

(1) ...는 태그 안에 들어갈 스크립트이며 <head>, <body>로 나뉘어져있다.

(2) 구글 태그 관리자 (GTM) > [관리자] > [Google 태그 관리자 설치] 를 클릭하시면 확인할 수 있다.

 

2. 티스토리 블로그에 구글태그관리자 (GTM) 설치하기

(1) 로그인 후 화면 우측 상단에 Profile 아이콘 클릭

(2) 해당 블로그 설정 버튼 클릭

(3) [꾸미기] > [스킨편집]을 클릭한다.

(4) 우측 상단에 있는 [html 편집]을 클릭한다.

(5) 구글 태그 관리자 스크립트를 삽입한다.

(6) html 편집기에서 부분을 찾은다음 ... 사이에 구글 태그 관리자 (1)번 스트립트 삽입 

     html 편집기에서 부분을 찾은다음 ... 사이에 구글 태그 관리자 (2)번 스트립트 삽입

(7) 작업을 완료했으면 적용을 클릭해서 저장한다. 

 

2.1 구글 태그 관리자 (GTM)에서 "태그" 생성하기

(1) [태그] 메뉴 클릭

(2) [새로 만들기]를 클릭

(3) [태그  이름]을 입력한다.

(4) [태그 구성] 영역을 클릭한다.

(5) Google 애널리틱스: GA4 구성 클릭

 

(1) [측정ID]를 입력

(2) [트리거] 영역 선택

 

* 측정 ID란? 

: 기존 GA에서 사용했던 "추적ID"와 비슷한 개념.

속성별로 부여되는 고유한 ID이다.

해당 ID로 웹사이트 데이터를 수집하게 된다.

측정 ID는 GA4 속성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측정 ID 확인 방법

: 구글애널리틱스4 (GA4) > [관리] > [데이터 스트림] > [웹] > [웹 스트림 상세정보]에서 확인한다.

(1) [데이터 스트림] 메뉴 클릭

(2) [웹] 플랫폼에서 해당 웹사이트 클릭

(3) [측정 ID] 확인

 

3. 트리거 생성

[트리거] 영역을 선택하면 트리거 선택 화면이 나온다.

(1) 설정이 완료 되었으면 태그 구성화면으로 이동.

(2) 설정한 태그 정보를 확인한다.

(3) [저장]을 클릭한다.

= 여기까지 했으면, 새로운 "태그"가 생성 되었다. 마지막으로 지금까지 설정한 내용을 실제 적용하는 일만 남았다.

 

4. 구글애널리틱스4 (GA4)에 구글태그관리자(GTM) 설정 적용하기.

4.1 설정 사항 게시하기.

(1) 작업공간 우측 상단에 있는 [제출]을 눌러야 작업이 실제로 적용된다.

(2) "실제 게시"전에 [버전]을 등록해야한다.

 

(3) [버전 이름]을 입력한다. (보통 V1.0 또는 관련 직업을 대표할 수 있는 이름으로 입력한다.)

(4) [버전 설명]을 입력한다. (실제 작업했던 내용을 입력하면 된다.

(5) [게시]를 클릭한다.

(6) 결과

 

(1) [보고서] 메뉴에서 [실시간]을 클릭한다.

(2) [지난 30분 동안의 사용자]에서 카운팅이 되는지 확인한다.

(3) 결과는 아래의 사진과 같다.

'GA4'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4] 2강. GA4 실습 계정 만들어보기.  (0) 2024.02.04
[GA4] 1강. GA4 시작하자 (공부 정리)  (0) 2024.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