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GA4] 1강. GA4 시작하자 (공부 정리)

softcoldness 2024. 1. 29. 11:36

공부를 하려고 개인적으로 입력 중입니다. (출처 : [GA4] 구글애널리틱스4 설치하고 박수치자 (With GTM) - 디애널리틱스 (theanalytics.kr))

[데이터 분석 이해]

 

1. 데이터 분석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만약 내가 쇼핑몰 CEO라면 고객의 어떤 데이터를 보고 싶을까?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그 시나리오에 맞게 측정항목을 정의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확인해야한다.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수집되는 측면도 있지만, 목적에 맞게 직접 정의하여 수집 후 확인하는 데이터도 있다.

2. 데이터 분석 활용

목표   ㅡ>   수집    ㅡ>   분석    ㅡ>   액션    
(KPI)                                                    ㅣ

       <-------------------------------------------ㅣ


 

(1.) 데이터 분석 전 목표를 정의합니다.

데이터를 분석하기 전 무엇을 목표를 분석해야 하느지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떤 데이터를 수집하고 어떻게 분석하고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를 결정할 수 있기때문에)

 

(2.) 목표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수집해야 한다.
목표 정의가 완료되었으면 해당 목표에 부합하는 데이터 항목(측정항목 : Matrics)를 정의하고 수집한다.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선 로그분석 도구[Google Analytis, Adobe Analytics)을 많이 이용한다.)

(3.)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한다.
데이터가 어느 정도 수집되면 로그분석도그나 데이터베이스에 직접 접속하여 데이터를 추출하는 SQL 쿼리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진행한다.

 

(4.)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액션을 진행한다.
(위의 표대로 진행하였을때 목표 구매 전환률이 5%가 안되었다면 구매 전환률을 높이기 위해서 여러가지 항목들을 먼저 점검하여야한다.)
- 고객이 유입되는 랜딩페이지에서 바로 이탈을 하는 고객은 얼마나 되는가?

- 상품 상세페이지에서 페이지에 머문 시간은 얼마나 되는가?
- 상품 상세페이지에서 스크롤은 얼마나 내리는가?
- 장바구니 담기 버튼을 얼마나 많이 클릭하는가?

- 바로 구매 버튼을 얼마나 많이 클릭하는가?

-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고 결제페이지로 이동하지 않은 고객은 얼마나 되는가?

 

총 이 4단계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 분석, 액션을 진행하지만 여기서 데이터 분석이 끝나는 게 아님.
(1) 데이터 분석 전 목표를 정의합니다. 의 목표가 달성 될때까지 해당 프로세스를 반복해서 수행한다.

(ex. 추가적인 데이터가 필요하다면 추가 데이터 수집을 계획하고 액션에 대해 효과가 없다면 새로운 액션 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서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FrameWork)가 자연스럽게 정의되고 구매 전환률이 조금씩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것이 바로 = "데이터를 활용한 비즈니스"이다.

3. 데이터 분석 도구엔 어떤 것이 있을까?

3.1 구글 애널리틱스 (Google Analytics)
특징

(1) 무료 사용
(2) 다양한 분석 기능 제공
(3) 직관적인 UI

(4) 데이터 통합성 & 확장성 제공

(5) 지속적인 기능 업데이트
(6) 학습의 용이성

 

FAQ

(1) 가장 많이 관심을 가져야할 데이터 분석 항목은 무엇일까?
수익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지 여부, 자신의 사이트에 얼마나 많은 방문자가 왔는지, 방문자가 어디에서 왔는지

(2) 데이터 분석 주요 단계는 무엇일까?
Workflow 단계와 데이터 분석 요구사항에 따라 descriptive, diagnostic, predictive and prescriptive

일반적으로 데이터 분석 시 6단계를 가지고 이야기를 한다.
'문제정의, 데이터 탐색, 데이터 준비, 모델링, 확인, 구현 및 추적"

 

[구글 애널리틱스4 (GA4) 시작]

2.1 구글애널리틱스 4 일단 시작하자

 

1. 구글애널리틱스4 (GA4)를 사용하는 5가지 이유

1.1 무료 서비스
1.2 데이터 분석 시스템
1.3. 구글에서 제공하는 다른 솔루션과의 연계성

: 구글 광고 솔류션 구글애즈, 태그 관리 솔루션 구글태그매니저, 시각화 솔루션 구글데이터스튜디오

A/B테스트 솔루션 구글옵티마이즈 등 데이터 분석 시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과의 연계 능력이 탁월

1.4 지속적인 기능 업데이트

1.5 데이터 통합성
CRM, ERP 등의 데이터를 GA에 import 할 수 있다. 즉, 기존 고객 데이터를 GA에 import하여 식별데이터 (고객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 비식별데이터 (고객 정보없이 행동데이터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통합하여 합계 분석을 할 수 있다.

 

- CRM 데이터에는 고객의 정보만 있다. 해당 고객이 웹/앱에서 어떠한 행동을 하고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데이터가 없다. (식별데이터)

 

- 로그 데이터에는 회원에 대한 정보가 없다. (비식별 데이터), 따라서, 누구인지는 모르지만 행동 패터이나 경험에 대한 데이터는 수집되고 있다.

 

따라서, 위의 두 데이터를 통합하여 깊이있게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것이 바로 구글 애널리틱스.

 

2. 구글애널리틱스4 (GA4)는 어떻게 활용 될까?

KPI(핵심성과지표)

KPI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고 있다.
대다수의 기업에서 말하는 KPI를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다.

- 웹사이트 방문자 유입률 증가

- 상품 조회수 증가를 통한 구매 증가

- 온라인 광고를 통한 고객 유입률 증가

- 전체적인 매출 증가

= KPI 설정에 따라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KPI 달성을 위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해야 한다.

 

[표 1]을 참고했을때, 시나리오와 관련된 측정항목들이 존재하다.

물론, 시나리오에는 정답은 없다.

이렇게 정의된 시나리오와 측정항목을 "구글애널리틱스 (GA)"통해 데이터를 찾아내고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하게 된다.

 

[GA4가 되고 난 뒤 특징]

1.1 데이터 측정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 시 한번은 노트북으로 한번은 휴대폰으로 접속하면 자신은 1명이지만 GA는 2명의 사용자로 인식한다.

한 번은 크롬브라우저, 한 번은 엣지로 접속하는 것도 GA는 2명의 사용자로 인식

 

= 총체적으로 구글 애널리틱스4는 이벤트 기반 데이터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모든 상호작용을 이벤트로 수집하여 이벤트와 매개변수로 제공하는 방식 (GA4 : 자동 수집 이벤트)

 

1.2 구글애널리틱스4 (GA4) 세션 수집

- 세션 수 차이점 (feat. 세션 수집 예외사항)

GA4는 캠페인에 대한 소스(타 도메인, UTM 파라미터 등)가 변경될 때 새 세션을 생성하지않는다.

GA4는 날짜가 바뀌는 시점, ex) 오후 11시 50분에 접속해서 세션이 생성되어 다음날 오전 01:10에 끝나는 경우라도 세션을 1로 계산한다.

 

 

1.3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인사이트 제공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1) 특정 기간 수익은 어떠했는가?
(2) 수익이 낮은 유입 트래픽은 어디인가?
(3) 사용자가 가장 많이 발생시킨 이벤트는 무엇인가?
(4) 전환 성과가 가장 좋은 페이지 혹은 이벤트는 무엇인가?

 

1.4 향상된 측정

GA4 설정 시 알려주는 향상된 측정 화면은 [페이지 조회, 스크롤, 이탈 클릭, 사이트 검색, 동영상에 호응, 파일 다운로드]

6개의 이벤트를 자동으로 수집한다.

 

(1) 페이지 조회

- 페이지가 로드(Load : PageView) 되거나 브라우저 방문 기록 상태를 변경할 때마다 페이지 뷰를 Google로 전송한다.

(2)  스크롤

- 방문자가 하단으로 스크롤 90%를 내릴 때 이벤트를 Google로 전송합니다.
(3) 이탈 클릭

- 방문자가 현재 도메인에서 나가는 링크를 클릭할 때마다 아웃바운드 클릭 이벤트를 Google로 전송한다. 

아웃바운드 클릭 이벤트는 현재 도메인 외부로 연결되는 모든 링크에 대해 발생한다.

(4) 사이트 검색
- 방문자가 사이트 내에서 검색을 할 때마다 검색결과 조회 이벤트로 기록된다. 기본적으로 검색결과 이벤트는 URL에 일반 검색 쿼리 매개변수가 있는 페이지가 로드될때 발생한다.

(5) 동영상에 호응

- 사이트 내 동영상을 조회할 때 동영상 재생, 진행, 완료 이벤트로 기록된다.

(6) 파일 다운로드
- 방문자가 일반 문서, 압축된 파일,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오디오 확장 프로그램에서 링크를 클릭할 때마다 파일 다운로드 이벤트를 Google로 전송한다.

 

4.5 구글 마케팅 플랫폼 연동 (GMP)

- GA4는 구글의 광고 및 제품과 연동하도록 설계되어 있음

[Display&Videos360, Google Ads, 애드센스]와 연결 가능

- 사용법 : GA4에서 오디언스 리마케팅 목록을 만들어 Display&Video360, Google Ads에서 쉽게 타겟 오디언스를 지정할 수 있다.

 

4.6 빅쿼리 (BigQuery : Export)

- 빅쿼리는 데이터를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 웨어 하우스(Data Ware House)이다.

 

4.7 탐색 보고서 

 

탐색 보고서는 GA4에서 활용가능하고 기본적은 차트부터 시작해서 유입경로 분석, 세그먼트 중복 분석 등 총 12개의 템플릿이 제공되어 심도있게 분석이 가능해졌다.

 

5. UA와 GA4 데이터 관리

 

FAQ

(1) GA4 사용이  UA보다 더 어렵나요?

새로운 레이아웃과 기능에 익숙해져야함.

 

(2) GA4 데이터 스트림이란 무엇인가?

GA4에선 보기가 없어지고 데이터 스트림이라는 새로운 용어가 도입됨.
데이터 스트림은 Google 애널리틱스 속성과 직접 연결되는 정보 소스다. 따라서 웹 사이트, Android 앱 및 iOS앱에 대한 데이터가 있는 데이터 스트림을 가질 수 있다.

GA4를 사용하면 웹사이트/앱 데이터에 관해서 두 데이터 스트림을 결합하고 앱과 웹 모두에서 방문자를 통합적으로 볼 수 있다.

 

(3) GA4 이탈률은 어떻게 확인하나요?
이탈률은 GA4에서 더이상 측정항목이 아니며 이에 상응하는 "참여율"이라는 수치가 새로 도입됨.

GA4 이탈률은 단순하게 참여율의 역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