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4] 2강. GA4 실습 계정 만들어보기.
1. 구글 애널리틱스 (https://analytics.google.com) 접속 -> 측정시작
2. GA4 계정 설정
(1) 체크 V
- 벤치마킹, 기술지원, 계정 전문가
(2) 다음
3. 속성 설정
(1) 속성 이름에는 보통 웹사이트 명을 입력한다. [보고 시간대], [통화]는 "대한민국"을 선택한다.
(2) 다음 클릭
4. 비즈니스 정보
(1) 비즈니스 정보를 입력한 후 [만들기] 클릭
(2) 기본적인 GA4 계정 생성 완료.
5. 데이터 스트림 설정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기 위한 데이트 스트림 설정 시작, GA4는 3가지 플랫폼을 지원)
(1) 웹 (2) Android 앱 (3) IOS 앱
5-1. 데이터 스트림 플랫폼 선택하기
(1) 웹 클릭
5-2 웹 스트림 설정
(1) [웹사이트 URL]을 입력
(2) [스트림 이름] 입력
(3) 정상적으로 입력이 완료 되었으면 [향상된 측정] 설정을 클릭
6. 향상된 측정 설정
(1) 페이지 조회
- 페이지가 로드(Load : PageView) 되거나 브라우저 방문 기록 상태를 변경할 때마다 페이지 뷰를 Google로 전송한다.
(2) 스크롤
- 방문자가 하단으로 스크롤 90%를 내릴 때 이벤트를 Google로 전송한다.
(3) 이탈 클릭
- 방문자가 현재 도메인에서 나가는 링크를 클릭할 때마다 아웃바운드 클릭 이벤트를 Google로 전송.
아웃바운드 크릭 이벤트는 현재 도메인 외부로 연결되는 모든 링크에 대해 발생한다.
(4) 사이트 검색
- 방문자가 사이트 내에서 검색을 할때마다 검색결과 조회 이벤트로 기록된다. 기본적으로 검색결과 이벤트는 URL에 일반 검색 쿼리 매개변수가 있는 페이지가 로드될 때 발생한다.
(5) 동영상에 호응
- 사이트 내 동영상을 조회할 때 동영상 재생, 진행, 완료 이벤트로 기록된다.
(6) 파일 다운로드
- 방문자가 일반 문서, 압축된 파일,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오디오 확장 프로그램에서 링크를 클릭할 때마다 파일 다운로드 이벤트를 Google로 전송한다.
= 설정이 완료 되면 [저장]을 클릭한다.
7. 웹 스트림 세부정보 확인
(웹 스트림을 생성한 후에 웹스트림 세부정보 화면에서 [측정 ID]를 확인한다.
*측정 ID : 구글 태그 관리자 (Google Tag Manager, GTM)에서 GA4 설정 시 필요한 정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