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
-
[GA4] 탐색 분석 보고서
1. 경로 탐색 분석 기법 적용하기 세션 시작 (Session_start) : 세션 시작이 24회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새로운 사용자 세션 또는 방문이 24번 시작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페이지 뷰 (Page_view) : 사용자들이 페이지를 24번 조회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세션 시작 횟수와 페이지 뷰 횟수가 동일하므로, 평균적으로 세션 당 페이지 뷰가 1회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습니다. 참가 이벤트: 참가 이벤트가 4회 있었음을 보여주며,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특정 행동을 취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벤트 유형: 특정 이벤트 유형을 나타내며, 사이트에서 이 이벤트의 중요도를 나타낼 수 있습니다. (not set): 1회의 이벤트에 대해 설정되지 않은 카테고리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이는 추적..
2024.02.26 -
[마케팅] 디지털 마케팅 4대 광고 매체의 특징
1. 네이버 (Naver) : 장점 (Positive) (1) 국내 단일매체에서 매체력이 가장 높음 (2) MAU (달 활성 유저), DAU (일일 활성유저)가 높음을 근거로 들 수 있음 (3) 상위 노출 중요성 : 네이버 검색엔진은 키워드 상위 노출 전략을 위해 잘 설계되어있어, 콘텐츠가 높은 순위에 랭크될 때 핵심 고객을 쉽게 유치할 수 있음 (4) 콘텐츠의 지속적 활용 : 네이버에서는 블로그와 포스트 형식의 콘텐츠가 오래 지속될 수 있어, 지속적인 사용과 가시성을 허용 (5) 정보 전달력 : 네이버는 블로그, 이미지, 비디오, URL을 통해 포괄적인 정보 공유를 허용하는 롱폼 콘텐츠를 지원한다. : 단점 (Negative) (1) 광고 유형이 한정적이다. (키워드 광고, 브랜드 광고, 쇼핑광고) (..
2024.02.04 -
[GA4] 3강. 구글 애널리틱스4 설치하자 (with GTM)
1.1 구글 태그 관리자 (GTM) 접속 (1) 구글 계정 로그인 후 구글 태그 관리자 (https://tagmanager.google.com)에 접속한다. (2) 구글 태그 관리자에 접속하여 [계정 만들기] 클릭 (3) 새 계정 추가 화면에서 [계정 이름], [국가], [컨테이너 이름], [타겟 플랫폼]을 입력한다. (4) [만들기] 클릭 * 컨테이너 뜻 = 컨테이너 (Container)란? 구글태그관리자 (GTM)에서 태그, 트리거, 변수 등 작업을 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컨테이너'라 말한다. 하나의 계정에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만들 수 있어서, 사용자 별 또는 환경별 (웹, 앱)으로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생성하고 하나의 계정으로 묶을 수 있습니다. (5) 서비스 이용약관에 동의 1.2 설치 스크립트..
2024.02.04 -
[GA4] 2강. GA4 실습 계정 만들어보기.
1. 구글 애널리틱스 (https://analytics.google.com) 접속 -> 측정시작 2. GA4 계정 설정 (1) 체크 V - 벤치마킹, 기술지원, 계정 전문가 (2) 다음 3. 속성 설정 (1) 속성 이름에는 보통 웹사이트 명을 입력한다. [보고 시간대], [통화]는 "대한민국"을 선택한다. (2) 다음 클릭 4. 비즈니스 정보 (1) 비즈니스 정보를 입력한 후 [만들기] 클릭 (2) 기본적인 GA4 계정 생성 완료. 5. 데이터 스트림 설정 (데이터 수집을 시작하기 위한 데이트 스트림 설정 시작, GA4는 3가지 플랫폼을 지원) (1) 웹 (2) Android 앱 (3) IOS 앱 5-1. 데이터 스트림 플랫폼 선택하기 (1) 웹 클릭 5-2 웹 스트림 설정 (1) [웹사이트 URL]을 ..
2024.02.04 -
[GA4] 1강. GA4 시작하자 (공부 정리)
공부를 하려고 개인적으로 입력 중입니다. (출처 : [GA4] 구글애널리틱스4 설치하고 박수치자 (With GTM) - 디애널리틱스 (theanalytics.kr)) [데이터 분석 이해] 1. 데이터 분석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만약 내가 쇼핑몰 CEO라면 고객의 어떤 데이터를 보고 싶을까?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그 시나리오에 맞게 측정항목을 정의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확인해야한다.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수집되는 측면도 있지만, 목적에 맞게 직접 정의하여 수집 후 확인하는 데이터도 있다. 2. 데이터 분석 활용 목표 ㅡ> 수집 ㅡ> 분석 ㅡ> 액션 (KPI) ㅣ
2024.01.29